.
절영해안도로 끝자락 감지해변에서 곧장 태종대로 향한다. 다누비 매표소-260m-자갈마당 갈림길-700m-남항조망대-770m-태종대전망대-250m-등대 갈림길-540m-태종사-980m-다누비 매표소로 돌아오는 제법 긴 코스이지만 오늘은 다누비를 이용하지 않고 도보로 해안선을 돌아 나오기로 결정했다. ▲ 태종대 등대로 내려서는 길
태종대 순환도로는 약 4km 구간이다. 등대까지 2km, 태종사까지는 1km 조금 더 되는 거리이다. 등대에서 내려선 후 해안을 돌아오면 태종대 해안 여행은 총 5km 정도 걷게 된다. 순환열차 다누비는 겨울철(09:20~19:00)과 여름철(09:20~20:00) 운행 한다. 요금은 어른 3천원이다. 다누비를 이용하면 태종대 중간 중간 설정해 놓은 곳에서 내리거나 탈 수 있다. 한번 끊은 표로 전 구간을 여행하므로 편리하지만 걸어가다 중간에 탈 경우는 다누비 승선권을 구매하여야 하는데 요금은 마지막 구간에서 탑승하여도 똑같이 받는 불합리한 매표구입을 강요하고 있기도 하다. 다누비를 탑승하여 전망대휴게소에서 내린 후 전망대를 둘러보고 도보로 해안 길을 감상하며 등대를 거쳐 신선대까지 다녀 온 후 다시 다누비 열차를 타고 돌아오면 된다. 전망대휴게소에서 등대 갈림길까지는 약 250m 정도 구간이다. 태종대 태원 자갈마당 태종대 유람선이 출발하는 지점이다. 태종대는 엣 매표소를 기준으로 안으로 태원자갈마당과 등대자갈마당이 있으며, 바깥으로 감지자갈마당이 있다. 자갈마당은 감지자갈마당이 최고로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지만 횟집촌이 가려 놓았다. 태원자갈마당은 오른쪽으로 깎아지른 절벽과 태종대 남항조망지 사이 활처럼 굽은 해안선으로 자갈이 널려져 있으며, 그 옆으로 불법 천막촌 횟집이 난립하여 자연경관을 훼손하고 있다. 자갈마당 오른쪽 유람선 타는 곳에서는 출발하는 유람선은 태종대를 돌아 조도와 오륙도를 거쳐 오는데 왕복 1만원이며, 35뷴 정도 소요된다.
자갈마당으로 진입하다 오른쪽으로 보면 산길이 이어지면서 해안으로 툭 돌출된 기암절벽 위에 올라서게 된다. 인근 감지해변을 비롯하여, 영선동 앞바다 정박 중인 배들을 만날 수 있는 최상의 전망을 자랑하는 곳이지만 탐방객이 거의 찾지 않아 주변이 어수선하다.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자갈마당 위쪽에 올려다 보이는 절벽 위로 한번 가 볼 것을 권한다. 태종대 전망대휴게소 자갈마당에서 전망대 가는 중간길 위치한 남항조망지에 올라서면 영도 앞바다에 드나드는 선박을 비롯하여 정박 중인 대형 선박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시원한 해풍을 마주하고 탁 트인 바다를 조망할 수 있도록 2004년 목재데크를 설치하여 편안한 조망을 하도록 하였다. 태종대 여행은 꼭 조망지가 아니라도 해안길을 걷다보면 숲 사이로 바다를 만날 수 있다. 날씨가 좋으면 대마도를 볼 수 있을 만큼 탁 트인 조망을 자랑하는 태종대 산책로 구간은 가로등과 잘 정돈된 철쭉 그리고 다양한 수종이 어우러져 연출하는 자연의 아름다운 길을 친구삼아 거닐 수 있어 좋은 곳이다. ▲ 다누비 첫 정류장 태종대 전망대휴게소 다누비 열차가 출발 후 처음 탐방객을 내려놓는 곳이 전망대휴게소이다. 태종무열왕이 이곳에서 바다를 바라보았다는 곳으로 전망대휴게소 뒤편으로 나가면 지척에 앙증맞은 등대하나 올려놓은 바위섬이 있는데 이를 주전자를 닮았다하여 주전자 섬이라 부르며, 왼편으로는 깍아지런 절벽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 일대를 자살바위라 불렀다. 삶이 고단했던 시절 자살바위에서 투신하는 일이 계속 발생하자 1976년 입구에 모자상을 세웠다. 자살을 결심한 사람에게 어머니의 사랑을 다시 한 번 생각하라는 의미이다. 자살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그들의 영혼을 위로해 주기 위해 '구명사'라는 사찰이 생겨났다. 1976년 세워진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으로 본래 자살바위에 천막식 절을 만들고 설득하는 일과 함께 염세자살자의 영령을 봉안하기 위해 오늘날 터에 1976년 사찰을 조성 한 것이다. 자살바위에 만들어진 전망대휴게소는 1999년 8월 재건립된 건물로 식당과 패스트푸드점 및 외곽으로 통로를 두어 전망대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17년 09월 현재 전체적인 보수작업을 마무리하였다. 부산 최초의 유인등대 태종대를 찾는 대다수 사람들의 최종 목적지가 바로 영도등대이다. 영도등대는 1906년 12월 대한제국 세관공사부 등대국에서 설치한 유인등대를 만나게 된다. 현재 영도등대는 2004년 8월 새롭게 단장하면서 10만촉광의 빛을 18초 간격으로 24마일(38km)까지 비춘다. ▲ 유인등대 전경 부산에는 약 40여개 섬이 있으며, 이중 36개 섬은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태종대는 부산의 섬 중에서 가장 큰 섬이지만 부산대교와 영도대교, 부산항대교, 남항대교 등 연결되어 있다. 영도에는 신라시대부터 조선조 중기까지 국마장(國馬場)이 있었으며, 명마가 많았다 한다. 삼국사기열전 김유신 조항에는 33대 선덕왕이 삼국대업을 이룬 김유신의 공을 치하하기 위해 김유신 적손 김윤종에게 절영도 명마 한 필을 하사햤다는 내용이 있다. 절영도는 오늘날 이름을 줄여 영도로 부른다. 2006년 바다의 날 10주년 기념으로 바다헌장 기념비가 세워졌다. 현상공모를 통해 선정된 작가 김오성(국전특선, 84 현대미술초대작가)씨의 작품이다. 남녀가 돌고래가 미는 선박을 타고 노를 저어 파도를 헤쳐 가는 형상으로 바다를 개척하는 인간의 노력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태종대 망부석 일대에서 발견된 90여개의 발자국은 망부석과 인접한 두 개의 평지로 4백여㎡ 와 동편 바위 일대 8백여 ㎡로 백악기시대 공룡으로 추정하고 있다. 공룡의 발자국을 추정해 보면 높이가 15m, 무게가 20t 가량의 초식공룡이 아닐까 하는 주장이다. 태종대 공룡이 부각되는 이유는 인접한 고성 상족암 보다 1천만년 뒤의 것으로 한반도에서는 가장 후기의 발자국으로 추정 가능하기 때문이다.
공룡의 발자국은 이 일대가 호수로 융기파식대로 퇴적층에 찍혀있는 발자국 위에 시대를 달리하는 퇴적물이 쌓이고 굳어지는 과정을 통해 바다에 잠겼다 융기되면서 노출 된 것으로 삼면의 바위가 모두 수직으로 솟구쳐 올라 이 일대에 더 많은 발자국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태종대 해안단구의 특징은 지반이 융기하거나 낮아지면서 형성된 흔적을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전형적인 융기파식대로 이곳에서 공룡의 발자국이 발견된 것은 지나칠 수 없는 해안 융기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태종대의 암반은 1억 년 전부터 8천 년 전 사이인 중생대 백악기로 주장하는 설에 의하면 1년에 1.4mm씩 솟아오르면서 태종대가 형성되었으며, 지금도 파도에 의하여 침식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언젠가 태종대의 두 개의 돌출부분은 갈라지고 떨어져 나갈 것으로 예측이 가능하다. 등대에서 내려다보면 신선바위와 그 옆으로 망부석이 서 있다. 신선이 노닐던 장소라 하여 신선대로 불리는데 신라 말 석학 고운 최치원 선생이 신선대라고 쓴 진필각자가 있었다고 전한다. 신선대는 해식동굴과 함께 공룡발자국 그리고 12만 년 전인 제4기의 최종 간빙기 역사를 한눈에 보여준다. 옆으로 바다로 나간 남편을 기다리다 돌로 변했다는 망부석이 서 있다. 국가문화재 명승 제17호(2005) 태종대유원지는 부산광역시 해양여행의 출발점이자 속살이다. 해안침식으로 해식동굴과 해식애가 발달한 이곳 태종대는 한국관광공사 선정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국내 관광지 100선’ 중 마지막 100번째 자리를 차지 한 곳으로 해안절벽을 따라 깎아 세운 듯 한 지층 위 우뚝 서 있는 등대를 시작으로 기암절벽을 따라 해안으로 내려서는 길은 아찔한 비경을 자랑하는 신선대까지 안내하고 있다. 주전자섬은 태종대 앞바다에서 가장 근접해있는 섬으로 주전자를 닮았다하여 주전자섬이라 한다. 한문으로 유분도, 생도 등으로 표기하고 있다. 주전자섬에 관한 이야기로 천상에 제를 올릴 술을 담아 두던 제기의 형상을 하고있어 부정을 금하는데 태종대 주변 주전자섬이 보이는 곳에 재단을 만들고 제를 지내면 뜻을 이루어 준다는 구전이 전해진다. 주전자 섬에서는 용변을 보거나 불을 피우는 일은 절대 금하며, 남녀가 정을 나누면 급살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등대를 따라 내려선 후 절벽 옆으로 아슬아슬하게 내어놓은 길을 따라 들어서면 광장처럼 생긴 대(臺)가 나오는데 이를 신선대(神仙臺) 그리고 신선대 건너 우뚝 서 있는 바위를 망부석이다 한다. 신선대에 고은 최치원 선생이 남겼다는 각자가 존재하였다 전하지만 흔적을 알 수 없으며, 제4기의 최종 간빙기에 형성된 이후 12만년이 지난 오늘에도 계속 침식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영도의 옛 이름은 절영도다. 이곳에서 말을 방목했다고 한다. 영도는 섬이기 때문에 초식동물인 말을 맹수의 위협으로부터 지킬 수 있었고 육지와 인접해 길러진 말을 뭍으로 나오게 하기도 좋았다. 그런 이유로 예부터 국마장이었고 이곳에서 명마를 많이 길러냈다고 한다. 이곳의 천리마는 빠르게 달릴 때 그림자가 못 따라 올 정도라고 해서 '끊을 절'(絶), '그림자 영'(影)을 쓴 절영도다. 이후 '영도'로 부르게 됐고 전쟁 이후에는 실향민의 고단한 삶을 대표하는 곳이 되기도 했다. 예로부터 많은 묵객이 찾아와 해안절경에 심취하여 자연과 함께 노닐던 태종대의 생성시기는 12만 년 전으로 제4기 최종 간빙기 이후 부산만의 간헐적인 융기운동에 의하여 생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쥐라기 마지막 무렵 공룡이 활보하였고 신라 무열왕이 삼국 통일대업을 이룬 후 전국을 순회하다 태종대의 해안 절경에 반하여 오늘날의 태종대로 부른 천하절경의 명소이다. 태종대의 개방은 1967년 건설교통부에서 유원지로 고시하고 1969년 관광지로 지정되면서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후 1970년 태종대 해안선을 따라 총연장 4.3km의 도로개설을 착공, 1973년 완공하고 1974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태종대의 명물이 하나씩 자리 잡았는데 기암괴석이 만든 신선대(사선암)와 왜국에 잡혀간 지아비를 기다리다 돌이 되었다는 망부석, 영도 남항을 불 밝히는 등대, 주전자를 닮았다는 주전자섬 외 사찰 2곳이 있다. 등대 앞으로 청동인어상이 자리하고 있다. 높이 35M 하얀 등대 앞에 횃불은 든 청동인어상이 대비를 이룬다. 인어상이 바라보는 곳은 등대가 바라보는 수평선과 일치한다. 외로운 등대의 친구가 되어 남해와 동해바다를 오가는 무심한 배들에게 안전을 기원하고 있는지 모를 일이다. 등대 입구에서 만나는 조형물 ‘무한의 빛’은 붉은색으로 태양과 동백 그리고 영원한 우주와 오대양 육대주를 표현하고 있으며, 푸른 원은 바다와 하늘이다. 동해와 남해바다의 경계에 위치한 상징적인 작품은 세계로 뻗어가고자 하는 해양국가의 힘찬 외침으로 다가온다. 기암절벽 그 앞으로 끝없이 뿌려놓은 푸른 바다를 지키는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부산 최초 유인등대가 우뚝 서 있다. 등대는 1906년 12월 대한제국 세관공사부 등대국에서 등대의 필요성을 느껴 우리나라에서 10번째 등대로 목장이 있는 섬이라하여 목도(牧島)등대로 부르다 1948년 절영도(絶影島)등대로 바뀌었다. 오늘날 영도 등대는 1951년 영도출장소가 운영되면서 영도(影島)등대로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다. 등대는 불을 밝혀 바닷길을 안내하는 역할과 함께 해양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2004년 8월 등대를 새롭게 보수하면서 바다와 등대 모든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등대에 종합해양문화공간을 조성하여 개방하고 있다. 등대에는 SEE&SEA갤러리, 해양도서관, 정보도서길, 해양영상관, 전망대, 자연사전시실, 카페 외에도 철재계단을 빙글빙글 돌아 등대 조명탑까지 오를 수 있다. 신선대는 둘로 나누어져 망부석이 있는 곳으로는 출입을 할 수 없다. 본래 하나의 바위였지만 파도가 절벽을 깎아 들어가면서 너비 7m 의 바위틈을 만들어낸 해식동굴이다. 망부석에는 바다로 나간 남편을 애타게 기다리던 여인이 돌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신선대를 두고 사선암이라고도 부른다.
태종대의 유래는 정확하게 알 수 없고 몇 가지 구전이 동래부지에 전해져 온다. 신라 태종무열왕이 무술을 연마하여 삼국통일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설과 통일을 이룬 태종무열왕이 궁인을 대리고 와서 비경을 즐기며 놀았다는 설, 태종무열왕이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 오는 길에 궁인이 마중 나와 연회를 베풀었다는 설, 태종무열왕 사후의 장소였다는 설 등이 있다.
태종대는 신선들이 살았던 곳이라 하여 신선대(神仙臺)로 불리던 곳이었다. 신라 태종 무열왕이 활을 쏘고 말을 타며 군사 조련과 함께 삼국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곳이라는 전설로 인하여 태종대라는 설과, 이곳이 기우제를 지내던 곳으로 가뭄이 들어 대지를 적셔 줄 단비를 기다리던 조선 태종이 5월 초 열흘날 승하한 이후 음력 5월 초열흘날 오는 비를 태종우라 불렀다 한다. 조선 헌종 11년 일본 사신을 맞이하기 위해 조정에서 선위사로 신정(申晸)이 부산을 찾아와 시를 남겼는데 그 속에서 동래 부사가 태종대에서 비를 빌면서 지은 시를 차운해서(次萊伯太宗臺禱雨韻)를 남겨 이곳이 기우제를 지내던 곳 이였음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여행이야기에 공감하시면 '공감'을 '클릭'해 주십시요 |
.
'2020 이전 여행지 > 공원 트레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원트레킹 - 대전 한밭수목원을 걷다. (0) | 2017.09.14 |
---|---|
공원트레킹 - 울산대공원 사랑의메밀밭 (0) | 2017.09.08 |
공원트레킹 - 창녕 유채꽃단지에 핀 백일홍, 해바라기 (0) | 2017.09.01 |
공원트레킹 - 부산 삼락공원 습지여행을 하다 (0) | 2017.08.31 |
공원트레킹 - 부산 대저생태공원 코스모스 (0) | 2017.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