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시간의 기억을 더듬어 보기위해 봉화마을을 찾았다. 노사모 회원이라지만 딱히
앞장서서 풍선을 날리지 않았지만 그래도 명색 무늬만이라도 노사모 였는데...
이번 방문 코스는 봉화산으로 오르는...
봉화마을 입구부터 이곳이 세상은 노랗다. 제멋데로 돌아가는 세상을 향해 노란카드를 번쩍
들어 보이듯..그렇게 봉화마을로 진입한다.
노무현 대통령의 생가를 지난다. 1946년 9월 1일 출생한 후 8살까지 머물던 집으로 제공된
자료에는 6살 당시 천자문을 외워 동네에서 "노천재"로 불리기도 했다하며, 과수원집 막내
로도 불리웠다 한다.
지금의 생가는 생가 복원을 위해 친구가 매입하여 김해시에 기부한 것으로 원형에 가깝도
록 복원을 하여 2009년 9월에 일반 공개되었다.
봉화마을 생가를 지나 묘역으로 접어들면 사연이 얽혀있는 봉화산 부엉이 바위가 슬퍼게
시야에 들어온다.
봉화산은 김수로왕 다섯째 아들이 지었다는 지은암이란 암자가 있었던 곳이라 "지암산"으로
불리다 사자바위 위에 봉수대가 생긴 후 봉화산으로 바뀌었다.
옛부터 수리부엉이가 많이 살았다고 해서 부엉이바위라고 불리는 큰 바위, 지금도 가끔 부엉이
소리가 들리기도 하는 이곳은 대통령이 마지막 사연을 간직하고 있는 바위다.
마애불로 접어들기 전 공터에는 사람이 기거하기 좋은 바위틈과 물이 있다. 어쩌면 옛날 가락국
왕자가 이곳에서 암자를 짓고 수행했을 수도...
바위틈 사이에서 바라본 바깥세상. 바위틈이 제법 넓다.
부엉이 바위에서 내려다 본 풍경. 생태공원과 묘역이 한눈에 들어온다.
부엉이 바위 위 마지막 공간.. 이곳이 그 아픔의 현장.
봉화산 정상 위치한 호미든불상.
정토원은 대통령님 49제를 지내고 위패를 모신 곳. 1920년 인근 한림면 유지 이진일이 세운 지암
사에 연원을 두고 있다. 선진규 법사가 1959년 봉화사로 개명해 농촌계몽운동을 시작한 곳이다.
안장하되 봉분은 만들지 않겠다는 유족들의 뜻에 따라 지하에 안장하고, "아주 작은 비석"만
남기라는 유온에 따라 남방식 고인돌 형태의 낮은 너럭바위를 봉분처럼 올렸다.
묘역은 입구 작은 연못인 수반을 거쳐 헌화대 그리고 너럭바위 봉분과 뒷 배경으로 곡장이
경계를 이루고 있다. 묘역의 구조는 묘역으로 들어서기 전에 거울처럼 수반에 비치는 자신
의 모습을 통해 몸과 마음을 잔정하게 하라는 의미다.
추운날씨에 뜻밖의 손님.
국가 보전묘역 제1호
묘역은 일정기간 녹이 슬고 나면 보호막이 되어 부식을 막아주는 특수강판으로 제작되었으며
너럭바위 아래 석함에는 참여정부 5년 다쿠멘터리 5부작 DVD를 비롯 추모영상 DVD가 함께
안장되어 있다.
사용된 철은 "따뜻한 철"로 불리는 내후성 강판으로 부식에 견디는 성질이 강한 철판으로 3-4
년 동안 암갈색으로 천천히 안정화 된다고 한다.
국민참여 박석이 묘역에 자리잡고 있다. 박석은 국민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18,000여개로
비문을 대신하고 있다.
대통령 사저로 노무현 대통령 퇴임 후 거처하던 곳. 주변 경관과 자연스럽게 어울리기 위해 지붕을
낮추었다.
봉화마을 전경
대통령 귀향 이후 만들어진 생태연못에는 다양한 연꽃이 피고진다.
봉화들판에서 직접 생산하는 봉화오리쌀은 노무현 대통령이 고향에 내려와 마을 주민들을 설득
하여 무농약으로 재배하는 친환경 오리농법을 통해 지역민의 수입을 극대화 시켰다.
호미든관음상은 자유당 정권의 부정부패와 독재가 기승을 부리던 1959년 불교학도 31명이 농촌
발전에 대한 기원을 담아 봉안한 불상인데 봉화산에 난 불로 타 버리자 1998년 새로 호미든부처
님을 모시고 주변에는 붉은 철쭉으로 심었다.
화포천으로 국토해양부가 한국의 100대 하천으로 선정한 21.2km에 이르는 국내 최대의 하천형
습지로 오염되어 몸살을 앓던곳을 대통령이 귀향 후 화포천 살리기를 통해 대대적인 정비를 한
곳이다.
봉화산 정상에서 바라본 낙동강의 모습.
편백나무 숲길은 정토원 입구에 자리잡고 있다. 봉화산에는 소나무가 주류를 이루는데 유독 절 입구
500m 구간에만 편백나무 숲길이 열려있다.
누워있는 마애불? 부엉이 바위길 아래에 위치한 공터에 들어서면 누워있는 바위에 부처가 새겨진
형상을 볼 수 있다. 통일신라 또는 고려시대로 추정하는 마애불은 본래 서 있던것으로 바위가 무
너지면서 그데로 누워버린것.
부엉이 바위아래 그날의 흔적을 지울 수 없듯.. 노란 깃발이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비록 지금은 아픈 역사속에 살지만..
언젠가는 희망하는...
그런 세상을...
'2015년 이전여행 > 02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군산] 금강하구언 방조제 (0) | 2011.02.07 |
---|---|
[전북 완주] 대둔산 봄 오는 소리에 (0) | 2011.02.07 |
[경남 양산] 배네골 애던벨리 (0) | 2011.02.04 |
[울산 울주] 천년고찰 석남사 겨울풍경 (0) | 2011.02.04 |
[경남 양산] 원동면 천태산 웅연폭포 겨울 (0) | 201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