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이전여행/05월 여행

[전북 남원] 석장승 & 실상사

허영꺼멍 2012. 5. 15. 23:59

 

 

.

.

.

.

.

.

.

.

.

.

한떄는 석장승을 찾아 전국을 헤메였다. 그때 만나게 된 실상사 석장승과의 인연은

지리산 자락을 여행할 때면 꼭 들렀다 가는데..................................................

.

해탈교 입구 외롭게 서 있는 석장승은 본래 2기가 수문장을 자처하고 있었지만 19

36년 홍수로 유실된 후 지금은 1기가 위치해 있고 "해탈교" 건너 2기가 마주하고 있

다. 해탈교 전후로 4기가 존재했던 것이다.....................................................

.

툭 불겨진 부리부리한 눈과 해학적으로 묘사된 도깨비 형상을 두고 다양한 해석을

하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중국에서 들어온 하나의 수문장 역활을 하는 장군석이라

생각한다.................................................................................................

.

.

 

.

석장승 하면 나주 불회사를 떠올릴 수 있다. 불회사 석장승이나 운흥사 석장승이나 모두

남녀 한쌍이 기본이지만 실상사 석장승은 모두 남성이다. 옹호금사축귀장군(擁護金沙逐

鬼將軍/높이 290cm, 둘레 118cm, 두께 40cm, 너비 48cm), 대장군(大將軍/높이 253㎝,

둘레 170㎝, 두께 34㎝, 너비 40㎝ ),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높이 253㎝, 둘레 165㎝, 두

 27㎝, 너비 50㎝)등으로 어찌된 영문인지 한결같이 장군이다. 즉 남자라는 것인데 본

 장승은 남, 여 1기씩 배치하는 것이 보편화된 것이지 않은가. 특수한 경우 경남 사천

의 석장승은 2기씩 남,여를 배치하여 마을 곳곳에서 찾아 볼 수 있지만 이처럼 남성장

만이 몰려 있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

.

.

장승은 목장승과 석장승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지방에 따라 장승, 장성, 벅수, 법

수. 당산, 수살목 등으로 불리며, 설치한 목적에 따라 제각기 달라 진다. 주로 마을의 경

계를 나타내거나 사찰 입구에 세워 잡귀의 출입을 막거나 사찰 지역임을 나타 내고, 마

을에서는 돌림병으로부터 받기위해 세우기도한다. 사찰에서 만날 수 있는 장승으로 도

갑사, 보림사, 쌍계사, 불회사, 운흥사, 통도사, 봉은사 외 많은 사찰 입구에 자리 잡

있다. 실상사 장성의 연대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으로 "옹정(雍正) 3년 3월" 이란 명문과

대장군은 "雍正 三年乙巳 三月 入東述" 이라고 새겨져 있음은 옹정(雍正)은 중국 청대

연호이며 "雍正三年"은 조선 영조1년(1725)임을 짐작할 수 있다..........................

.

.

.

.

실상사 대장군은 이제 그만 바라보고 실상사로 들어가 보자.

.

.

.

.

국내 최초 선종가람

실상사

.

.

최초 선종가람인 실상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 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로 통일신라

흥덕왕 3년(828)에 홍척에 의해 구산선문의 자리로 시작하게 된다. 홍척국사는 최초 선종

가람의 개산조로 가지산문의 개산조 도의선사와 당나라 마조 도일선사 제자인 서당 지장

선사로부터 정통선맥을 이어 받고, 실상사가 잘되어야 나라가 부흥하고 일본을 제압한다

 도선국사의 비기를 통해 창건 하였지만 번창의 시기속에 정유재란으로 소실되고 폐

 변해버려 인근 암자인 백장암을 사찰로 승격시키고 그곳에서 머물렀다. 1679벽암

대사가 다시 부활을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1690년 침허대사, 1821년 의암대사에 의해 불

사가 이루어 졌지만 1882년 일부가 유생들에 의하여 소실되고, 1884년 월송사에 의해

 재건되었다.......................................................................................................

.

.

.

.

.

.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 중 유일하게 평지에 위치해 있는 실상사는 법당 구조를 무시한

보광전, 약사전, 극락전 등 3개의 법당이 상단, 중단 구조로 사찰에서 또 하나의 사찰을 만

나는 기분을 느끼도록 하며, 석탑 배치 역시 최초 석탑 중심으로 사찰이 조성되었다가 나중

에는 사찰 중심으로 석탑이 자리 잡아 지금은 쌍탑이 나란히 서 있다. 실상사는 1법당 1탑

구조로 시작하였으나 사찰의 살림이 커지면서 쌍탑, 3법당 가람배치로 이어진 것으로 본다.

.

사찰 내 가람의 배치는 사천왕사를 지나 진입하면 석등과 연못, 종각이 첫 번째 자리 잡고

정면에 보광전, 오른편에 약사전, 왼편 안쪽으로 극락전이 자리하고 약사전 옆에 명부전이

있으며, 명부전 옆으로 목탑자리로 추정되는 자리에 주출돌이 있다...............................

.

.

.

.

.

실상사삼층석탑

(보물 제37호)

.

 

실상사에서 대표적인 한국 탑을 만날 수 있다. 국보 10호인 실상사 백장암의 석탑과 함께

보탑이 아름다운 실상사 삼층석탑은 통일신라후기의 작품으로 빼놓을 수 없다. 두기의 석

탑이 나란히 배치되어져 있지만 정상 부분의 보륜대는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탑에서 상륜부는 거의 파손되거나 보륜대는 없는것이 대부분이지만 두기의 탑이 모두 완

하게 남아 있으며,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돌출하여 올렸다....................................

.

실상사삼층석탑(보물 제37호)는 신라 흥덕왕 3년(282) 실상사 창건과 운명을 함께한 통

일 신라 쌍탑으로 총 높이가 8.4m이다. 탑신과 옥개석이 하나의 돌로 만들어진 삼층석

탑 중 동탑은 상륜부 원형보존이 완벽하지만 서탑은 수연이 없다..............................

.

.

.

.

실상사 석등

보물 제35호

.

.

.

보물 제35호 실상사 석등은 보광명전 앞 중앙에 자리잡고 있는 통일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화사석에 불을 밝히기 위해 오르는 돌계단(동계)이 함께 있다. 팔각 지대석 위 기대석을

안치하고 측면에 안상을 새겨놓고 낙수면에 8엽 단판연화로 전면을 치장하고 있다........

.

.

.

.

.

.

.

실상사의 동종에 얽혀 있는 이야기

.

.

실상사동종(전북시도유형문화재 제137호)

.

.

.

실상사에서 눈여겨 볼 것은 보광전 법당에 있는 동종(시도유형문화재 137호)으로 일본

지도가 그려져 있다. 높이 123㎝, 입 지름 83㎝의 숙종20년(1694) 만든 종으로 도선국사

비기에 실상사가 잘돼야 나라가 부흥한다는 말에 따라 일본의 경거망동한 행동을 경고

하기 위해 종신 하단에 일본 지도를 새겨놓고 동경 위치를 당좌로 삼아 스님이 매번 종

 쳐 일본지도가 닳고 식별이 어려울 지경이다. ..................................................

.

.

동종에 있는 열본 열도가 다 닳아서 사라져 버렸다. 남은 일본 지도마저 사라지면 일본

은 사라지는 건지............................................................................................

.

.

.

실상사철제여래좌상(보물 제41호)

.

.

.

.

.

.

.

.

.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보물 제38호),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비(보물 제39호)는 증각

즉, 흥척국사의 시호로 실상사 창건주 사리탑이다. 탑은 통일신라 양식을 한 높이 2.

4m 팔각원당형부모이며, 비는 비몸돌이 없는 상태로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이 있다..

특히 받침돌 용의 머리를 만들지 않고 거북 모습 그대로 조각하고 머릿돌에는 응료

탑비하 새겨져 있다.....................................................................................

.

.

.

.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보물 제33호),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보물 제34호)

심원사에 있다 실상사 2번째 창건주가 된 수철화상이 진성여왕 7년(893) 77세로 입적

하자 왕이 직접 시호를 수철화상으로 내리고 사리탑을 능가보월이라 하였다 한다.....

탑은 신라 전형적 팔각형태를 취하며, 탑과 탑비가 있어 부도의 내력을 살펴 볼 수 있

는 통일신라시대 탑과 탑비이다.......................................................................

.

.

.

.

.

.

.

실상사 극락암(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5호)은 정유재란 당시 소실된 후 조선 숙종

(1674~1719) 당시 다시 지었지만 인근 유생들이 절터를 가로채려는 과정에서 다시

소실 재건된 건물이다.................................................................................

.

.

실상사 증각대사응요탑(보물 제38호)은 극락암 담장 왼편에 있다. 통일신라말 흥척스님

을 추모하기 조성한 높이 2.4m탑으로 우수한 조각을 뽐내고 있다............................

.

.

.

.

.

 

불교문화재로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국보 제10호),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보물 제33호), 실상사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보물 제34호), 실상사석등(보물 제35호), 실상사부도(보물 제36호), 실상사삼층석탑(보물 제37호),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보물 제38호), 실상사증각대사응료탑비(보물 제39호), 실상사백장암석등(보물 제40호), 실상사철제여래좌상(보물 제41호), 실상사약수암목조탱화(보물 제421호), 남원싱상사석장승(중요민속자료 제15호), 실상사극락전(전북 시도유형문화재 제45호), 실상사위토개량성책(전북유형문화재 제88호). 실상사동종(전북시도유형문화재 제137호), 실상사일원(사적 제309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