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이전여행/01월 여행

한국의 전통산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 7선

허영꺼멍 2014. 1. 7. 19:36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한국전통산사 7선

 

한국의 전통산사가 2013121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어 살펴보니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봉정사, 부석사, 통도사 등으로 심사기준은 인도에서 시작하여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파된 불교를 통해 한국적 불교 사상과 의식, 생활, 문화를 계승하고 있는 조선시대 이전 창건된 고찰을 선정하여 우리나라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총 18(문화유산 14, 자연유산 4)을 보유하게 되었다.

 

세계유산 잠정목록은 최소 1년 전에 잠정목록에 올라와 있는 유산에 대하여 세계유산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중단 과정으로 일종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예비목록이다.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해남군 두륜산 대흥사

 

 

사적 및 명승 제9호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99

 

 

대한불교 조계종 제22교구 본사로 신라 진흥왕 5(544) 아도화상이 창건한 고찰이다. 한국불교의 원동력 호국불교의 정신이 꿈틀거리는 청정수행도량 대흥사는 조선후기 연담유일, 초의의순 스님이 기거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때는 100여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임진왜란 당시 승병으로 나라를 지키고자 의기투합 한 곳으로 서산대사의 옷과 밥그릇을 봉안하고 있는 대흥사는 서산대사가 제자 사명당과 처영스님에게 삼재가 들지 않는 대흥사에 의발을 봉안케 하라는 유언을 한 후 대흥사는 빠른 발전을 하였다.

 

 

대흥사 불교유적으로 대흥사북미륵암마애여래좌상(국보 제308), 대흥사북미륵암삼층석탑(보물 제301), 대흥사응진전전삼층석탑(보물 제320), 대흥사서산대사부도(보물 제1347), 대흥사서산대사유물(보물 제1357), 대둔산대흥사일원(사적 및 명승 제9), 대흥사천불전(시도유형문화재 제48), 대흥사천불상(시도유형문화재 제52), 대흥사용화당(시도유형문화재 제93), 대흥사대광명전(시도유형문화재 제94), 대흥사서산대사친필등유물일괄(시도유형문화재 제166), 대흥사관음보살도(시도유형문화재 제179), 해남대흥사북미륵암동삼층석탑(문화재자료 제245), 해남대흥사만일암지오층석탑(문화재자료 제246)등이 있다.

 

 

 

춘마곡 추갑사로 불리는

마곡사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충남을 대표하는 사찰 마곡사는 신라선덕여왕 9(640) 지장율사에 의하여 창건한 후 고려 명종 때인 1172년 보조국사가 중수하고 범일이 재건하였으며, 도선국사가 중수하고 순각이 보수하였다고 전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는 창건당시 30여칸의 전각을 갖춘 대사찰이었지만 지금은 대웅보전, 대광보전, 영산전, 사천왕문, 해탈문이 전해지고 있을 뿐이지만 화려했던 모습은 변함없이 위엄을 갖추고 있다. 한때 충남지방을 통괄했던 마곡사는 조선시대 세조(재위 14551468)가 찾아 영산전 편액과 잡역을 면제하는 교지를 하사하였지만 모두 소실되고 정조 6(1782) 큰 화재로 1,050칸의 전각이 소실되었다 하며. 신라말부터 고려 전기까지 폐사되었다고 한다.

 

 

불교유적으로 마곡사오층석탑(보물 제799호), 마곡사영산전(보물 제800호), 마곡사대웅보전(보물 제801호), 마곡사대광보전(보물 제802호), 마곡사석가모니불괘불탱(보물 제1260호), 마곡사동제은입사향로(충남시도유형문화재 제20호). 미곡사동종(충남시도유형문화재 제62호). 포저유서및송곡문집판각(충남시도유형문화재 제126호). 마곡사심검당및고방(충남시도유형문화재 제135호). 마곡사천왕문(충남문화재자료 제62호), 마곡사국사당(충남문화재자료 제63호), 마곡사명부전(충남문화재자료 제64호), 마곡사응진전(충남문화재자료 제65호), 마곡사해탈문(충남문화재자료 제66호)등이 있다.

 

 

 

 

부처님의 법이 머문 절

속리산 법주사

 

사적 503호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1-1번지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 속리산 기슭에 자리 잡은 법주사(길상사)는 한때 무려 3만 명의 승려가 머물렀다 하니 대찰 중에서 대찰로 조선시대 태조가 상환암에서 기도를 한 기록 및 병을 얻은 세조가 복천암에서 용양하며 3일간 법회를 연 기록도 있다.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14(553) 의신조사가 서역에서 돌아오면서 나귀에 불경을 싣고 법주사에 이르러 주변경치에 취해 사찰을 만들었다 하여 법주사라 부른다는 전설 및 불법이 머문다 하여 법주사라 전하며, 의신조사에 관한 기록이 없다.

 

 

법주사는 사적 제503호로 국내 유일의 목탑 팔상전(국보 제55), 쌍사자 석등(국보 제5), 석연지(국보 제164), 사천왕석등(보물 제15), 마애여래의상(보물 제216), 대웅전(보물 제915), 원통전(보물 제916), 신법천도문(보물 제848) 외 충북지정 유형문화재 다수가 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불전

안동 봉정사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사찰 기록 대부분은 한국전쟁 당시 머물던 인민군이 불태워 버려 알 수 없지만 명종 21(1566) 이황 선생이 절의 동쪽에 낙수대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기록을 통해 조선시대까지 명맥을 유지한 고찰로 추정되며, 20002월 대웅전 수리 당시 묵서명이 확인되었고 조선시대 초까지 팔만대장경을 보유 및 75칸의 전각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불교유적으로 봉정사극락전(국보 제15), 봉정사대웅전(보물 제55), 봉정사화엄강당(보물 제448), 봉정사고금당(보물 제449), 봉정사삼층석탑(시도유형문화재 제182), 봉정사만세루(시도유형문화재 제325), 봉정사소장유물(시도유형문화재 제328), 봉정사영산암(시도민속자료 제126), 봉정사 동종(문화재자료 제404)등이 있다.

 

 

선묘낭자 사랑이야기가 숨어있는

부석사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부석사는 한국 화엄종의 근본도량으로 신라 문무왕 16(676) 축서사에 머물던 의상에게 왕명으로 사찰을 만들고 화엄의 대교를 설법하라는 명을 받고 만든 곳으로 국보는 무량수전, 조사당, 소조여래좌상, 조사당벽화, 무량수전 앞 석등이 있고, 보물로 3층 석탑, 석조여래좌상, 당간지주가 있다.

 

   

 

부석사 무량수전(국보 제18), 부석사 조사당벽화(국보 제46), 부석사 고려각판(보물 제735), 부석사 소조여래좌상(국보 제45), 부석사 삼층석탑(보물 제249), 부석사 조사당(보물 국보 제19), 부석사 무량수전앞석등(국보 제17),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제255), 자인당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2(보물 제220), 외 경북 유형문화재가 다수 있다.

 

 

태고종의 본산 홍매화 필적에

순천 선암사

사적 명승 제8호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선암사는 조계산 자락에 터를 잡은 조계종 다음으로 큰 불교 종단인 태고종의 본산이다. 조계종만큼 화려하지 않지만 사찰의 멋을 고루 갖춘 절로 태백산맥의 배경지요 작가 조정래의 고향이기도 하다. 한때 선암사는 60여동의 대가람으로 백제 성왕 시절 고구려 아도화상이 비로암 자리에 만들었다는 설이 있지만 근거가 없고 9세기경 도선국사가 남방비보를 위해 선암사의 하나로 확장 후 고려 선종9년에 대각국사 의천에 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선암사에는 500년 되는 10여 그루의 홍매와 백매가 봄이면 서둘러 꽃피우고 겨울이면 동백의 화사함이 선암사를 꾸며주고 있다.

 

 

선암사 삼층석탑(보물 제395), 선암사 승선교(보물 제400), 선암사 동탑발견사리구(보물 제955), 대각국사 진영(보물 제1044), 선암사 대각암 부도(보물 제1044), 선암사 북부도(보물 제1184), 선암사 동부도(보물 제1185), 선암사 대웅전(보물 제1311) 및 선암사 소장 가사탁의(중요민속자료 제244), 금동은입사향로(전남유형문화재 제20), 전 도선국사 직인통 1(전남지방문화재 제21), 전 도선국사 직인통 2(전남지방문화재 제21), 팔상전(지방유형문화재 제60), 선암사 중수비(지방유형문화재 92), 선암사 일주문(지방유형문화재 96), 금동관음보살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263), 대각암 동종(지방유형문화재 제263), 선암사 측간(지방유형문화재 제214), 선암사 각황전(지방유형문화재 제177), 선암사 마애여래입상(지방유형문화재 제157) 등이 있다.

 

 

불보사찰 본산

불지종가 국지대찰 영축총림

양산 통도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영축산(1050m) 남쪽 자락에 자리잡은 통도사는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모셔온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최초 봉안하면서 불지종가 국지대찰 영축총림 통도사로 신라 성덕여왕 15(646) 지장율사가 창건하고 당나라 구법중에 모셔온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가사, 경책을 금강계단을 조성하고 봉안하였고 오늘날 삼보사찰 중 불보사찰로 한국 불교 최고의 종합수행도량으로 자리메김하고 있다.

 

 

불교유적으로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국보 제290), 통도사 동종(보물 제11-6), 통도사 국생장생표(보물 제74), , 통도사 봉발탑(보물 제471), 통도사 삼층석탑(보물 제1471), 통도사 영산전 벽화(보물 제1711), 통도사 은제도금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747)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문수사리보살최상승무생계경(보물 제738),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6(보물 제753), 통도사 영산전팔상도(보물 제1041), 통도사 대광명전삼신불도(보물 제1042), 묘법연화경 2(보물 제1194),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9-10(보물 제1195), 묘법연화경(보물 제1196), 묘법연화경3-4(보물 제1240), 통도사석가여래괘불탱(보물 제1350), 통도사괘불탱(보물 제1351), 통도사화엄탱(보물 제1352), 통도사영산회상탱(보물 제1353), 통도사 청동은입사 향완(보물 제334), 통도사 금동천문도(보물 제1373), 통도사아미타여래설법도(보물 제1472) 그리고 다수의 유형문화재가 있다.

 

 

▲ 선암사 전경

 

즐거운 산사 여행을 하시길 바랍니다.

http://blog.daum.net/okgo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