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의 종가집 " 보림사"
가지산 남쪽에 자리한 보림사는 통일신라 헌안왕이 왕권강화 목적으로 체징에게 부탁하여 헌안왕 4년(860)에 창건한 사찰로 이후 번창을 누렸으나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었다. 보림사는 인도의 가지산 보림사, 중국의 가지산 보림사와 함께 세계3대 보림으로 알려져 있으며, 통일신라 당시 쌍용사, 태안사와 함께 대찰로 알려져 있었지만 전쟁으로 사라지고 최근 대부분 조성한 전각이다. 한국전쟁 이전 20여 전각이 있어씨만 경찰이 철수하는 과정에 불을 질러 오늘날 천왕문과 외호문을 제외하고는 잿더미로 변해버린 안타까운 현장이기도 하다.
▲ 보림사 경내로 들어서기 위해 사천문을 통과하여야 한다.
보림사 입구에 외호문 천장에 용이 머리를 내밀고 손님을 맞이한다. 가지산 남쪽자락 가지산사로 불렸으나 보조국사가 입적하면서 헌강왕이 국사의 비와 탑을 세우도록 한 후 지금의 보림사로 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보림사목조사천왕상(보물 제1254호)
사찰입구에 2구씩 양켠을 지키는 사천왕상은 동.서.남.북 사천국을 다스리며 불법을 수호하는 신으로 통일신라 초기부터 조선시대 세워졌다. 보림사 사천왕상은 대웅전을 향해 오른편 동방 지국천왕, 북방 다문천왕을 배치하고, 왼편으로 남방 증장천왕, 서방 광목천왕을 배치하고 발 아래는 악귀가 신음하고 있다. 보림사 목조 사천왕상은 천왕문 현판과 중창불사기록에 의해 중종 10년(1515) 당시 조성하고 2차례 중수한 것으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사천왕상이며, 임진왜란 이전 사천왕상으로는 유일하다.
▲ 절 안에서 바라 본 사천왕이 모셔져 있는 천왕문
천왕문을 지키는 사천왕상은 국내 조선시대 사천왕상 중 가장 오래된 임진왜란 이전 작품으로 중종 10년(1515) 조성 후 1666년, 1777년 중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여느 사찰과는 달리 복장유물로 1995년 사천왕상 무릎과 발등 안에서 월인석보 제25권 외 고서 250여권이 확인되었다.
▲ 여름날 전경 |
▲ 보림사 삼층석탑 및 석등(국보 제44호)
남북으로 세워진 동일기법을 한 쌍탑은 2단 기단 위 3층 탑신을 올린 형태로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석탑으로 석탑과 석등이 모두 남아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석탑에서 발견된 기록에 의하면 신라 경문왕 10년(870)전후로 추정된다.
경문왕 10년(870) 조성된 쌍탑은 남탑이 5.4m, 북탑이 이보다 약간 큰 5.6m 그리고 중간에 위치한 석등이 3.12m 로 적당한 비율을 자랑하는 2층 기단 위 3층 탑신을 올린 신라시대 전형적인 석탑이다. |
▲ 석등(국보 제44호)
보림사는 진입부터 보물과 국보로 널려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사찰이 잘 정비되어 하루여행을 하기 좋다. 사천문에서 만나는 사천왕사의 날카로운 칼날아래 잠시 땀을 식혀보고 안으로 진입하면 두 개의 탑과 중앙에 석등이 자리 잡고 그 뒤편으로 대웅전인 대적광전과 그 옆으로 산신각이 있으며 금산사를 연상케 하는 대웅보전이 위엄을 드러내고 뒤편으로 선원을 배치하고 중앙에 있는 수각(샘물)에는 피라미가 노닐며 헌강왕이 보조국사에게 내렸다는 창선비와 탑이 선원 옆에 자리 잡고 있다.
▲ 10년 전 방문 당시 입술에 붉은 연지가 발라져 있었는데 지금은 없다. 국보 제117호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대적광전에 모셔놓은 철불로 대좌. 광배를 잃고 철불만 모셔져 있다. 불상은 신라 헌안왕 2년(858) 무주(광주)장사(장흥)의 부관 김수종이 시주한 것을 왼팔에 기록해 놓았다. 철불은 소라 모양 머리에 계란형을 하고 콧날이 높고 입을 굳게 다물고 있는 9세기 후반 불상 양식으로 수인은 비로자나불 형식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철조비로자나불로 장흥 보림사와 철원 도피안사를 빼 놓을 수 없다. 불상은 좌상높이 283cm, 무릎높이 210cm 로 현존하는 철불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조성된 작품으로 왼팔 뒷면에 가로 8행, 세로 4~10자로, 총 69자 명문을 남겨 놓았는데 신라 헌안왕 2년(858) 무주 장사 부관이던 김수종이 시주하여 철 2500근으로 만들었다 한다.
▲ 보림사 아미타전 석불입상. 본래 제암산 의상암지에 있던 것을 1975년 인근 장흥교도소로 옮겼다 1994년 보림사로 왔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인 천년고찰 구산선문 장흥 보림사 주지 일선 스님은 보림사는 조계종의 종가집이라고 표현 할 만큼 2개의 국보와 8개의 보물 그리고 다수의 유형문화재 그리고 초의선사가 유학 후 귀국할 때 가져와 심었다는 차와 관련이 있는 보림사 특유의 발효차인 보림백모차 가공법이 전해지고 있는데 세계차품평회를 통해 최고 상인 금상을 받았으며, 청태전이라 한다.
▲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비(보물 제158호)
▲ 조각의 수법이 정교함을 자랑한다.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보물 제158호)는 보림사에 있는 통일신라 보조선사(804∼880) 지선의 탑비로,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보림사에서 보조선사를 모시는 이유는 헌안왕 3년(859) 왕의 명으로 보림사 주지가 되어 77세 입적하자 왕이 보조국사라는 시호와 탑이름을 창성이라 내렸다. 탑은 헌강왕 10년(884)에 세워진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 일부 훼손 되었지만 석공의 불심을 엿볼 수 있다. |
▲ 보물 제 157호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보물 제157호)은 보림사에 있는 보조국사의 사리탑으로 통일신라 부도탑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 팔각형태로 일제강점기 당시 도굴과정에 무너진 것을 복원할 무렵 일부 파손되었다. 탑에는 입체적 구름문양과 연꽃, 사천왕상, 기왓골, 서까래를 표현하고 있다.
동양 3대 보림이란 인도 보림사, 중국 보림사 그리고 우리나라 보림사로 신라시대 선종이 가장 먼저 들어온 곳으로 보림사란 당나라 당시 광동성 남화선사가 머물던 곳이 보림사였고 절이 있던 마을내 맑은 내가 흐르고 조계(曺溪)조(曺)씨가 집단으로 모여 살던 곳이라 하여 조계종이라 부르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
▲ 조그마한 조각 하나 하나 정성을 다한 흔적이 역력하다. 입체감이 살아 있는 조각
원표대덕이 인도 보림사와 중국 보림사를 거쳐 국내로 돌아와 절 지을 곳을 찾아 가지산을 찾았는데 선녀가 찾아와 자신이 사는 연못에 9룡이 있어 이를 물리쳐 달라고 말하였고 원덕대덕은 부적으로 용을 내쳤으나 9룡 중에서 백룡 한 마리가 나가지 않고 버티자 도력으로 제압하여 내쳤는데 그때 백룡이 남쪽으로 향하다 꼬리치는 바람에 산기슭을 잘라 버렸다 전하며 그곳이 용소로 변하자 그 위에 못자리를 매워 보림사를 지었다 한다. 본래 보림사 이전인 759년 무렵 원표대사가 절을 창건하고 가지사로 불렀는데 체징(지선)이 재 창건하면서 보림사로 불러졌다.
▲ 보조선사 창성탑 옆에 있는 훼손된 조각상
▲ 보림사 동부도(보물 제155호)는 보림사 부도 중 머리장식이 완벽하게 남은 부도로 통일신라 후기 작품이지만 고려 전기
특징이 보이는 백색의 화강암으로 만든 부도이다.
사찰에도 세군데 부도군이 자리 잡고 있는 특징이 있다. 제일 가깝게 있는 것이 경내에 있는 보조국사 탑과 탑비이며, 숲을 따라 200m 정도 걸어가면 동부도군이 있고 차로 이동해서 마을 안으로 진입하면 서부도군이 있다. 동탑군으로 가는 길목은 야생 차밭이 자리 잡고 주변은 온통 버섯을 키우는 모습과 침엽수림이 안겨주는 촉촉함에 힘든 하루여정을 풀어 놓는다. 우리나라 불교 선종의 대표 사찰로 동양 3보림 중 한 곳인 이곳 장흥 보림사 주변은 녹차나무와 150~300년 된 비자나무 600여 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어 쾌적한 숲을 이루고 있으며, 2009년 제10회 아름다운 숲으로 인정받기도 하였다.
보림사 불교문화재로는 보림사삼층석탑및석등(국보 제44호),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117호), 보림사동부도(보물 제155호), 보림사서부도(보물 제156호),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보물 제157호), 보림사보조선사창성탑비(보물 제158호), 보림사목조사천왕상(보물 제1254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계초심학인문(시도유형문화재 제194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고봉화상선요(시도유형문화재 제195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금강반야론(시도유형문화재 제196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시도유형문화재 제197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대전화상주심경(시도유형문화재 제198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몽산화상육도보설(시도유형문화재 제199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불설사십이장경(시도유형문화재 제200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육경합부(시도유형문화재 제201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언해판화관계불서(시도유형문화재 제202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진언ㆍ의식관계불서(시도유형문화재 제203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선종불서(시도유형문화재 제204호), 보림사사천왕상복장경전불서(시도유형문화재 제205호) 등이 있다.
즐거운 여행하시길 바랍니다.
'2015년 이전여행 > 10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금정] 범어사를 조망할 수 있는 계명봉 그리고 고당봉 제1편 (0) | 2014.10.24 |
---|---|
[전남 장흥] 천관산 그리고 천관사에서 방촌리석장승 (0) | 2014.10.22 |
[경남 양산] 제2편 좀 특별한 통도사 여행 (0) | 2014.10.20 |
[경남 양산] 제1편 통도사 나만의 코스 (0) | 2014.10.20 |
[10월 초순] 가덕도 일제강점기 흔적을 찾다. (0) | 201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