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색의 유혹에 빠져든다. 산수유 꽃말이 ‘영원한 불멸의 사랑’이라 하였는가. 화구를 펼쳐놓고 원색의 물감을 덧칠하는 화가의 손놀림에 사랑함이 묻어난다.
산동마을에서 만나는 산수유는 중국 산동성에 사는 여자가 이곳으로 시집오면서 나무를 가져와 심은 것이 오늘에 이른다고 전하며, 이 일대의 지명이 산둥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여순 10.19사건 및 빨치산 토벌로 인해 수난의 시대를 겪기도 하였는데 여순 10.19사건에 연루되어 토벌대에 붙들려가며 "잘 있거라 산동아 너를 두고 나는 간다. 열아홉 꽃봉오리 피어보지도 못한 채……." 19살 처녀 백부전의 애틋한 사연을 담은 산동애 노래가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다. ▲ 왕관을 닮은 산수유 꽃 계곡 주변으로 밭농사를 짓을 만큼 공간과 기후조건이 녹록치 않은 터에 먹고살기 위해 산수유를 심었을 것이다. 한약재로 사용되는 산수유는 3월부터 꽃 피워 늦게는 4월초까지 피어난다. 샛노란 꽃이 떨어지고 가을이면 긴 장대를 이용하여 선홍빛 열매를 털어내고 씨를 빼내고 가을 햇살에 꼬돌꼬돌 말려 시장에 내다 팔아 한해 긴긴 겨울을 지냈을 것이다. 지금이야 씨를 빼는 기계가 있지만 당시는 열매 하나하나 일일이 이빨로 씨앗을 뽑는 작업을 하여 주민들 이빨에 새까맣게 물들었을 것이다.
산수유 꽃은 상위마을이 최고는 아니다. 인근 반곡마을과 천년 묵은 산수유 시목이 있는 계척마을 그리고 저수지 반영이 아름다운 현천마을도 빼 놓을 수 없지만 상위마을은 지리산 아래 첫 마을로 가장 폭넓은 공간을 자랑하는 곳이며,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곳이다. 천년의 세월 화려한 자태 구례 산수유 시목나무 구례 계척(桂尺)마을 산수유 조선시대 임진난을 피해 오씨와 박씨가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마을뒷산 견두산(774m)을 적시고 내려오는 계곡이 흘러 "계천(溪川)"이라 부르다 계곡 형상이 계수(桂樹)나무를 닮아 ‘계(桂)’ 그리고 임진왜란을 피해 배틀 바위에서 베를 짜 자(尺)로 재었다하여 “척(尺)‘ 하여 오늘날 계척(桂尺)마을이 되었다. ▲ 공원 내 앞쪽에 있는 산수유 나무가 할머니 나무이며, 뒤에 있는 나무가 할아버지 나무이다.
계측마을 입구 2010년 7월 세운 마을 이정표에 천년향기가 살아 숨쉬는 산수유마을 산동면 계척마을이라 안내하고 있다. 도로변에서 약 500m 들어서는 첫 마을로 백의종군로에 포함되는 곳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산수유 시목이 있는 마을이자, 지리산 둘레길 이자, 이순신장군 백의종군로를 통과하는 곳이다. 마을에는 천년이 되었다 전하는 산수유 시목나무만 있는 것이 아니다. 마을로 들어서면 300년은 족히 넘게 살아온 느티나무가 자리잡고 있으며, 마을 주민들은 정월 초 3일날 당산제를 지낸다. 그 덕분에 교통사고나 재앙으로 죽은이가 없다 한다. 산수유나무는 할머니나무라 하였다. 할아비나무는 달전마을에 있다고 한다. 긴 세월을 살아오면서 계절의 문턱 봄이 오면 어김없이 샛노란 꽃을 피우는 천년세월 모습에 놀라울 따름이다. 어옹수조(魚翁水釣)에 빈 낚싯대를 드리운 소류지 구례 산동면 '현천마을' 봄 마중 떠난다. 오늘날 주택 45호 약 100여명 생활터전을 이룬 마을은 화순최씨(和順崔氏)가 터 잡고 산을 개간하고 밭을 일구기 시작하면서 부터였다. 작은 소류지와 느티나무 노거수 그리고 봄이면 지천에 피어 샛노란 세상을 그려내는 포근하고 정감이 있는 마을이 오늘의 산수유 여행지인 현천(玄川)마을이다. ▲ 현천마을 집집마다 산수유 나무가 담장 역활을 하고 있다.
현천마을은 지리산 만복대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견두지맥 견두산(774m)에서 이슬이 모여 작은 골을 이루고 흘러내려 소류지를 형성하고 견두산이 한문으로 ‘현(玄)’자형이며, 바람을 막아주는 옥녀봉 옥녀가 맑은 계류에 빨래하고 선비가 고기를 낚는 어옹수조(魚翁水釣)가 있어 마을을 ‘현천(玄川)’, 순우리말로 ‘개머내’라 불렀다 한다. 현천마을 입구에서 만나는 어옹수조(魚翁水釣)에 빈 낚싯대를 드리운 선비의 모습을 상상하며, 소류지를 바라보면 샛노란 산수유가 하늘을 품은 옥빛수조에 풍덩 빠져 또 하나의 봄을 복사해 낸다. 현천마을 산수유를 찾아오는 대부분 사람들이 소류지 반영을 담아가기 위함이다. 필자도 땅 일구며 사는 조용한 산촌마을에 염치없이 발을 딛는다. 현천마을은 전남 구례군 산동면 개천리 일원에 생겨난 소담한 마을이다. (주차장 : 전남 구례군 산동면 계천리 781-1) 옥녀봉 옥녀가 빨래를 했다는 계곡은 크지 않지만 작은 폭포를 형성하고 계곡을 딛고 오르면 빨래하기 좋은 너럭바위를 타고 넘는 물소리가 햇살에 춤추며 흘러내린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견두산 편백숲을 거쳐 올라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견두산 마애여래입상도 만나고 싶지만 봄은 사람을 분주하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다. 아무리 급해도 전망대에 올라 마을은 한번 내려 봐야 비로소 봄을 만나는 것이니 부지런을 떨며 현천마을 전망대로 향해 본다. 지리산 하늘아래 첫동네 샛노란 세상 "상위마을“ 구례군 산동면 상위마을 구례군에서 가장 북쪽 남원시와 경계 지리산 하늘아래 삼월 중순이 되면 세상이 온통 노릇노릇해 진다. 지리산 자락을 쓰다듬고 걷다보면 지리산 하늘 아래 깊은 산골을 일구며 살아가는 첫동네 ‘상위(上位)마을’에 도착한다. 정유재란(丁酉再亂. 1598) 무렵 구씨, 정씨, 홍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마을을 일구었다. 풍수지리에 의하면 이 일대 오천석(五千石)으로 부유한 터라 하였고 한때 85호까지 모여들었다. 또한 이곳을 오천석 도장굴이라 불렀지만 이후 벼슬을 하고 살기 좋은마을이라 하여 상위마을로 불렀다. ▲ 상위마을 계곡 주변을 따라 심어져 있는 산수유나무
지리산 만복대 해발 700m 산기슭 샛노란 물감으로 그려낸 몽환적인 풍경을 그려낸다. 지리산온천을 시작으로 제철 만난 노릇노릇 산수유가 지천에서 피어난다. 차량을 아래에 두고 등산화 끈 동여매고 하위마을을 거쳐 상위마을 돌아오기로 한다. 돌담너머 고개 내민 노릇노릇 산수유, 너럭바위 타고 흐르는 계곡 주변 수 놓은 원색의 향연 그 속에서 봄을 호흡해 본다. 돌을 쌓아 만든 담장을 따라 남도의 봄이 소리 없이 찾아들면 상위마을로 가는 십리길 은 알록달록 상춘객은 주체할 수 없는 색의 본능에 빠져든다. 산유정에서 마을로 접어드는 돌담길에는 파릇한 봄기운이 이끼를 살찌우고 산수유 터널을 이룬다. 마을 정자 옆 도로변에 겨우 주차를 하고 마을 정자인 산유정에 올라 마을을 조망할 수 있다. 계곡을 따라 산수유가 활짝 피어 꽃대궐을 차리고, 장쾌한 풍경을 펼쳐 놓는다. 상위마을 오르기 전에 만나는 하위마을에는 산수유를 탐방하는 탐방객을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하위마을 안내 글을 옮겨 보면 다음과 같다. '정유재란을 피하여 홍씨, 구씨, 정씨 3성이 정착하여 마을을 형성하였다. 설촌 당시에는 새터라 불렀으나 상위의 아래 있는 마을이라하여 하위로 개칭하였다. 마을에 유별나게 돌이 많아 담장도 전부 돌담으로 되어 있으며 산수유 나무가 집집마다 번성하고 있다.' 산수유가 있는 마을에서 쉽게 제주도처럼 돌담길을 만나는 것은 주변 지형으로 인해 쌓기 적당한 돌이 지천에 널려져 있기 때문이다. 경북 의성군 사곡면 화천리 산수유 마을 경북 의성군 산수유마을 한때는 첩첩산골로 유난히 춥고 시린 겨울을 지내던 시절이 있었다. 땅이라고 보이는 곳에는 고급 한약재로 비싸게 팔리는 산수유를 심었고 꽃이 피고 열매가 익어 가면 생계를 위해 밤낮으로 이빨을 이용하여 씨앗을 까야 했고 이빨이 닳아 버린 노인들은 옛 터전을 찾아오는 여행객에게 기꺼이 자신들의 고단한 삶이 담겨 있는 마을길과 이랑 길을 내어 준다. ▲ 의성 산수유 마을 전경
79번 사미신감로를 이용하여 화전3리 산수유마을 앞 공터에 주차를 하고 화전교회 앞 갈림길에서 산수유1길을 따라 진입하면 마음까지 향긋한 산수유가 계곡을 따라 이어진다. 주차를 한 후 화전마을까지 약 2km 걸어가는 길은 온통 산수유로 물들어 있다. 화전마을에서 약 1.5km 더 오르면 저수지가 나오며, 마을길 끝자락에서 조금 산길을 따라 오르면 전망대와 함께 음지리를 너머 의성 사곡면으로 넘어 갈 수 있다. 이 마을의 산수유가 들어 온 것은 구체적이다. 선조 13년(1580) 조선시대 통정대부호조참의를 지낸 노덕래 어르신이 이 깊은 골짝에 터전을 잡기 시작하면서 산수유를 심었다 한다. 지금으로부터 약 430년 전후로 산수유를 심었다는 것이며, 그 후 언제 적부터인지 본격적으로 재배를 하였고 지금 마을에 계신 노인 분들이 직접 심었던 나무가 같이 늙고 있다. 마을에서는 산수유 열매를 얻기 위해 산비탈을 개간하였고, 장마철 비탈진 밭둑의 유실을 막기 위해 산수유나무도 심고 열매도 얻었다. 화곡지(숲실지)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은 산수유 마을을 경유한다. 주변의 작은 이랑을 거쳐 계곡을 형성하는데 계곡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뿌리가 잘 내리는 산수유를 계곡 따라 심어 놓았다. 산책하듯 황톳길을 따라 걷다보면 마음까지 향기로워 진다. 산수유는 “영원한 사랑(Endless love)”이라는 꽃말과 꽃모습이 왕관 모습을 하고 있어 연인들에게 인기가 있다. |
여행지에 관한 여행정보는 블로그 검색을 하시면 됩니다.
|
.
'추천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개구리가 추천하는 04월 진달래 추천여행지 (0) | 2017.03.21 |
---|---|
청개구리가 추천하는 2017년 03월 여행 (0) | 2017.02.28 |
청개구리가 추천하는 03월 여행지 - 땅에 떨어져 다시 피는 '동백여행' (0) | 2017.02.26 |
청개구리가 추천하는 03월 여행지 - 매화향기 짙은 그곳 '매화여행' (0) | 2017.02.24 |
청개구리가 추천하는 02월 여행지 - 정월대보름 행사 (0) | 2017.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