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 말사인 쌍봉사는 신라 경문왕 당시 도윤이 창건하고 자신의 도호를 따서 쌍봉사로 부른 후, 고려시대 문종 35년(1031) 혜조국사 및 공민왕 때 관찰사 김방이 중건했지만 임진왜란 당시 폐사되고 인조 6년(1628) 대웅전을, 현종 8년(1667) 중수, 경종 4년(1724) 중수를 통해 국보 제57호 쌍봉사철감선사탑, 보물 제170호 쌍봉사 철감선사탑비가 대표적이다.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현존하는 부도 중 최고로 알려진 경문왕 8년(868) 입적한 철감선사 부도는 높이 1.4m의 8각 원당형에 화려하고 정교한 조식을 자랑한다. 2단의 하대석 하단에 구름무늬와 상단에 사자를 새기고 상대석 양련 위에 8각 대석과 2중으로 된 안상 안에 가릉빈가 1구씩을 새겨 놓고, 탑신 받침은 연꽃문양을, 탑신은 문비형, 신장상, 비천상을 새기고, 옥개부는 연목과 기왓골을 정밀하게 모각하였는데 각 기와 끝에는 막새기와가 표현되고 처마에는 서까래까지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파손된 채 방치되다 1957년 재건하였다. 통일신라시대 승려였던 철감은 28세에 중국 당나라에서 불교를 공부하고 문성왕 9년(847) 범일국사와 함께 귀국하여 풍악산에 머물다 경문왕대에 화순에 머물면서 그의 호를 따 쌍봉사를 창건하고 경문왕 8년(868) 71세로 쌍봉사에서 입적하니, 왕이 직접 철감이란 시호를 내려 탑과 비를 세우도록 했다.
쌍봉사 대웅전은 목조탑파 형식의 희귀한 건축으로 지붕은 팔작지붕이나, 1962년에 실시된 해체·복원공사에서 경종 4년(1728) 삼중창 하였을 때 상량문이 발견되고, 원래의 형태는 보통 탑파건축과 같은 사모지붕이었음이 판명되었다. 쌍봉사의 중심법당인 대웅전은 규모가 협소하여 신도가 몇 명만 들어서도 비좁은 형태로 1층 1변이 4m, 2층은 3.3m, 3층은, 2.6m이다. 대웅전은 숙종 16년(1690) 까지 원형을 보존하다 1984년 4월 신도의 관리 소흘로 소실되고 1986년 복원하면서 우리나라 현존하는 유일한 3층 목탑식 전각으로 알려진 보물 제163호를 반납하였다.
철감선사 부도탑 옆에 자리한 철감선사탑비는 귀부, 비좌 둘레에 육각된 구름무늬와 복련무늬를 새기고 거북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탑비에는 철감선사의 일대기를 기록하고 철감은 시호 탑명은 징소라 하였다. 현재 비몸돌은 사라지고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이 남아있다.
현재 서울 중구 필동 3가 동국대학교도서관에 보관중인 조선시대 문서로 세조 3년(1457) 8월에 전라도 능성에 있는 쌍봉사에 잡역을 면하고 토지와 노비를 내리는 교지로 :감사와 수령은 전에 내린 전지에 의거하여 쌍봉사를 잘 살펴 보호하고 잡역을 감면하라“는 내용이다.
대웅전 화재 당시 인근에 있던 노파가 불길 속을 뚫고 구해 낸 목조삼존불좌상은 석가여래좌상의 양쪽 옆에 높이 140cm 인 아난과 높이 142cm 인 가섭조나로 두 손을 가슴앞에 모아 합장하는 특이한 조선후기 양식의 17세기 삼존불로 숙종 20년(1694)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극락전에 모셔진 조선시대 목불로 전체높이 165cm이다. 본래 극락전에는 아미타삼존불로 중앙에 아마타여래좌상과 왼쪽에 관세음보살, 오른쪽에 대세지보살을 모셨지만 1989년 양 협시불은 도난당했다. 아마타여래좌상은 미타정인 수인을 취하고 있으며, 조선시대 숙종 20년(1694)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선시대 불상으로 지장보살상 높이는 104cm 이다. 지장전에는 총 21구의 목조각상이 있는데 지장보살은 팔각대좌에 앉은 모습을 하고, 시왕은 의자에 앉아 있지만 나머지는 입상을 하고 있다. 조선시대 현종 8년(1667) 조성된 목불로 예술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통일신라시대 사찰건축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 맞배지붕을 한 다포계양식을 하며, 1978년, 1982년, 1991년 각각 보수하였다. 극락전은 전남유형문화재 제252호 아미타여래좌상을 모신 전각으로 대웅전, 대적광전과 함께 3대 불전으로 알려져 있다.
'2015년 이전여행 > 08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화순] 모후산 유마사 (0) | 2010.08.20 |
---|---|
[전남 화순] 천불천탑의 비밀 운주사 (0) | 2010.08.20 |
[전남 보성] 대원사 (0) | 2010.08.20 |
[전남 해남] 우항리공룡 (0) | 2010.08.20 |
[전남 해남] 일몰의 절정 땅끝 토말 (0) | 2010.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