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공주박물관은 1946년 4월 1일 백제 문화 중심 유적을 보존, 전시하기 위해 조성된 박물관으로 웅진백제를 주제로 하는 전시실과 충남 역사를 만날 수 있는 역사문화 전시실 그리고 특별전시실과 야외전시실, 체험관 등으로 운영되고 있다. ▲ 국립공주박물관 입구에 위치한 야외박물관
박물관은 1946년 04월 01일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개관을 시작으로 1972년 12월 05일 국립중앙박물관 공주분관으로 개칭, 다음해인 1973년 10월 12일 국립중앙박물관 공주분관 신축개관, 1975년 국립공주박물관 개칭, 1999년 국립공주박물관 신축 착공을 거쳐 2003년 10월 31일 국립공주박물관 신축 준공 및 2004년 05월 14일 국립공주박물관 신축이전 개관하였다. 박물관 야외 유적전시실 ▲ 대통사 석조(보물 제148호, 보물 제 149호) 공주 박물관 야외 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는 공주 대통사 석조는 돌을 파서 물을 담는 물통이다. 대부분 석조하면 사각형 형식을 떠올리겠지만 이곳 석조는 원형이다. 공주 대통사(공주시 반죽동) 강당터 앞쪽에 나란히 있던 것으로 통일신라시대 석조수법과는 달리 원형이며, 반죽동석조(보물 제149호), 중동석조(보물 제148호)로 알려져 있다. 무령왕, 왕비 묘지석을 통해 무덤주인을 밝혀준 중요한 유적 백제 제25대 왕인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誌石)이다. ▲ 묘지석(왕) ▼ 왕비석 앞 뒤 사진 / 국보 제163호 백제 25대 왕인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장례를 위해 땅의 신에게 묘를 사용 할 땅을 사들인다는 문서를 새긴 매지문(買地文)으로 왕의 지석은 각각 가로 41.5cm, 세로 35cm 이며,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매우 독특하고 중요한 유물이다. 왕의 무덤을 지키는 진묘수(鎭墓獸) 때문일까? 일제강점기를 거쳐오면서 도굴되지 않은 무령왕 왕릉 ▲ 진묘수(국보 제162호) / 공주 무령왕릉 출토 / 1971년 발굴 / 백제 무령왕릉의 널길에서 발견되었다. 진묘수를 무덤에 넣는 전통은 중국 한 대에 유형하였으며, 무덤을 지키고 죽은 사람의 영혼을 신선세계로 인도하는 승선의 역할을 한다. 물과 흙, 나무로 만들었고, 물소나 돼지 등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이 진묘수는 머리에 뿔이 있고 몸에는 날개가 달려 있다. 입과 몸통 일부는 나쁜 기운을 막아주는 벽사의 의미로 붉게 칠했다. 삭섬석암으로 만들었고, 무게는 48.2km이다. 왕의 금제관식(金製冠飾) 무령왕 관 꾸미개 공주 무령왕릉 출토 / 1971년 발굴 / 백제 ▲ 왕 관꾸미개(국보 제154호) 왕의 머리 부분에서 2점이 발견되었다. 얇은 금판을 오려 인동꽃 무늬를 맞새김하였는데, 역동적이고 강한 상승감을 준다. 왕비의 관 꾸미개와는 다르게 구멍을 뚫고 금실로 달개를 달아 화려하게 만들었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고이왕조에 왕은 자줏빛 큰 소매가 달린 도포를 입고 금꽃으로 꾸민 검은 비단 모자를 썼다라는 기사를 뒷받침해 준다. 왕의 머리 장식용으로 추정되는 금뒤꽃이 ▲ 왕 귀걸이(국보 제156호) ▲ 금귀꽃이(왕) 국보 제159호 / 공주 무령왕릉 출토 / 1971년 발굴 / 백제 뒤꽃이는 왕의 머리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보주형 머리와 역삼각형의 몸체, 세 갈래의 꼬리로 구성되어 있다. 금제 장식 뒤꽃이 길이는 18cm 정도의 크기의 머리 장신구이다. 무령왕릉에서 발굴된 왕비의 금목걸이 ▲ 무령왕비 금목걸이(국보 제158호) 왕릉에서 출토 당시 왕비의 머리 부근에서 수습하여 왕비의 장식품으로 추정된다. 금제 장식인 금목걸이는 제작기법은 동일하나 크기가 다른 2점의 목걸이로 공주박물관에는 9마디 목걸이를 전시하며, 중앙박물관에는 7마디 목걸이를 전시하고 있다. 무령왕릉에서 수습된 무령왕비 금귀걸이 ▲ 무령왕비 금귀걸이(국보 제157호) 길이 11.8cm(탄환 또는 나무열매 모양)와 8.8cm(잎사귀 모양) 2쌍으로 1971년 충남 공주시 "사적 13호 송산리 고분"(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소장자가 누구인지 확실하게 글을 새긴 무령왕비 용무늬 팔찌 ▲ 무령왕비 팔찌(국보 제160호)
왕릉에서 수습된 글자가 있는 용 장식 은 팔찌이다. 팔찌의 주인은 왕비로 왼쪽 손목 부분에서 수습되었으며, 팔찌 안쪽에 만든 시기와 만든 사람 그리고 주인과 제작 연유를 새겨 놓고 있다. ‘경자년(520) 2월 다리(多利)라는 장인이 대부인, 즉 왕비를 위하여 230주이를 들여 팔찌를 만들었다’ 경자년은 왕비 사후 6년 전이며, 230주는 무게 단위로 추정된다. 농경문 청동기 ▲ 농경문 청동기(보물 제1823호) 남자는 밭을 갈고, 여자는 새를 잡는 모습 그리고 뒷면에는 나무에 새가 앉은 모습이 새겨져 있어 농경문 청동기라 한다. 길이 7.3㎝, 너비 12.8㎝, 두께 1.5㎜ 작품은 초기철기 시대로 추정하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계유명 천불비상(국보 제108호) ▲ 계유명 천불비상 / 연기 서광암 / 1962년 입수 / 남북국시대(통일신라) / 국보 제108호 지붕모양을 한 덮개돌과 연꽃무늬받침, 몸체를 각각 따로 만든 시석모양이며, 앞면에 작은 불상들이 수없이 새겨져 있다하여 천불비상이라 한다. 불비상의 아래쪽에 있는 삼존불은 좌우에는 계유 673년 4월 15일에는 백제 유인 250명이 국왕대신 7세부모, 법계중생을 알라기 위하여 이 불상을 만들었다고 시록되어 있어 통일신라 초기 백제 옛 땅에 백제불교와 미술의 전통이 계승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 국보 제247호 공주시 의당면 송정리 절터에서 1974년 수습된 금동관음보살입상이다. 작품은 7세기 백제 당시로 추정되며, 높이는 25cm이다. 부여군수리석조여래좌상 ▲ 부여군수리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329호 / 부여 군수리 절터 출토 / 1936년 출토 1936년 부여 군수리 절터에서 출토된 불상이다. 얼굴은 뺨이 통통하고 미소를 띠고 있다. 양어깨를 덮은 통견의 대의는 두꺼우며, 안에는 비스듬하게 내의자락이 표현되어 있다. 두 손은 배 앞에서 마주잡은 선정인의 수인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인은 서울 뚝섬 출토 금동불좌상, 부여 신라 출토 금동불좌상 등 초기 선정인 불상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 국보 제293호 / 부여 규암면 출토 / 삼국시대 / 국립중앙박물관 통통한 얼굴은 미소를 띠고 있으며, 머리에는 화불이 새겨진 보관을 쓰고 있다. 목에는 가는 목걸이를 하였고, 가슴에 대각선으로 돌려 있는 상의는 두 줄의 선각으로 표현하였다.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 구미선산읍금동보살입상 / 중앙박물관 / 국보 제183호 / 구미 봉한동 출토 / 삼국시대(신라)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미소를 띠고 있다. 머리에는 화불이 새겨진 보관을 쓰고 있어 관음보살임을 알 수 있다. 몸의 얇은 천의는 오른팔에 한 번 걸쳐지고 무릎 앞에서 둥글게 드리워졌다. 양어깨로부터 늘어진 구슬장식은 배앞의 둥근 장식을 중심으로 교차되고 있다. 오른손은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연꽃봉오리를 잡고 있으며, 왼손은 지물을 들고 있었던 듯하나 현재는 없다.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 ▲ 부여 왕흥사지 사리엄장구(보물 제1767호) 왕흥사 터 목탑지 심초석 아래 사리공에서 발견되었다. 청동합과 은제병, 금제병이 중첩되는 구조로 청동합에는 6행 29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은제병은 목 부분에 접합한 흔적이 있는데, 금제병을 안치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를 따로 만들어서 나중에 접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백제 불교미술을 컨셉으로 한 전시회로 전시된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왼쪽 무릎 위에 오른쪽 다리를 겇치고 오른쪽 손가락을 살짝 뺨에 댄 채 깊은 생각에 잠긴 반가사유상이다.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 ▲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 / 보물 제368호 삼존불비상 ▲ 삼존불 비상 / 보물 제742호 공주박물관은 백제불교미술 문화 특별전시를 통해 중앙박물관 문화제를 비롯 다양한 국보, 보물급 문화재를 전시하고 있다. 특별전시는 2017년 11월 07일을 시작으로 2018년 01월 14일 까지 진행된다.
여행이야기에 공감하시면 '공감'을 '클릭'해 주십시요 |
.
'2020 이전 여행지 > 유적 트레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적트레킹 - 가장 오래된 석조 미술 '태안 백화산 마애삼존불' (0) | 2018.02.08 |
---|---|
[경남 합천] 황매산이 품은 사찰 '영암사지' (0) | 2018.01.02 |
유적트레킹 - 공주 송산리고분군 무령왕릉 (0) | 2017.12.27 |
유적트레킹 - 반구대암각화 (0) | 2017.12.21 |
유적트레킹 - 천전리각석을 방문하다 (0) | 2017.12.20 |